위고비를 뛰어넘을 국내 비만치료제 기업 대장주 딱 3개만 알려드림

비만이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면서 제약사들의 비만치료제 개발이 활발한대요. 이와 관련해서 청소년에게도 비만치료제를 맞게 한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12세도 위고비 맞는다…한국노보노디스크, 청소년 투여 허가신청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고 널리 알려진 일라이일리의 위고비가 있죠. 위고비는 현재 주사형태로 투약하게 되어있는데 어제 위고비를 뛰어넘을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의 성과가 뉴스에서 보도되면서 관련 기업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면 위고비를 뛰어 넘을 국내 비만치료제 개발 제약사들 3곳을 살펴보겠습니다.(인벤티지랩, 펩트론, 큐라티스)

[단독] 인벤티지랩, ‘세계 최초’ 릴리·노보도 못한 ‘7일 지속’ 해냈다…’먹는 비만약 핵심’ 흡수율 70배↑

비만치료제의 구분

비만 치료의 방식에 따라 음식을 적게 섭치하게 하도록 하는 식욕억제제, 지방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지방 흡수 억제제, GLP-1 계열의 비만 치료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GLP-1(Glucagon-Like Peptide-1)은 체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 하나로, 주로 장에서 분비되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GLP-1은 음식이 위장에서 소화될 때 분비되며, 이는 식사 후 혈당 상승을 조절하고,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여 혈당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나무위키)

GLP-1 노보 노디스크의 ‘삭센다’ 와 일라이 릴리의 ‘위고비’ 등이 있습니다.

인벤티지랩

>기업개요

  • 동사는 2015년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 기반 DDS 플랫폼 기업으로 설립됨.
  • IVL-DrugFluidic 플랫폼으로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개발·제조하며, IVL-GeneFluidic 플랫폼으로 유전물질 의약품 전달용 지질나노입자 제조 기술 보유.
  • 대웅제약, 종근당, 위더스제약, HLB바이오스텝, 유한양행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베링거인겔하임과 공동개발을 진행하며 기술력 인정.

위 뉴스의 주인공입니다. 오늘 장시작하자마자 상한가로 직행했습니다. 이 기사로 인벤티지랩 뿐만 아니라 비만치료제 전반적으로 거래량이 몰리면서 상승폭이 엄청났습니다. 강력한 뉴스로 인해 앞으로 어느정도까지 상승이 나올지 관련해서 다른 비만치료제들도 얼마나 상승할지 기대가 됩니다. 뉴스 사실 여부가 사실 불확실한 측면이 있어서 주의할 부분이 있지만 뉴스와 같이 경구용 비만치료제 효과가 입증된다면 엄청난 성장이 기대됩니다.

펩트론

>기업개요

  • 동사는 1997년 생명공학 첨단기술 소재 제조 및 의약품연구 개발사업을 목적으로 대전에 설립되어 2015년 코스닥 상장함.
  • 펩타이드 공학 및 약효지속화 원천 기술 기반으로 약효지속성 스마트 의약품 설계·제조, 펩타이드 신약 개발을 수행하며, GMP 대량생산 시설로 임상·상업화 제품 생산이 가능함.
  • SmartDepot 기술을 적용한 신규 파이프라인 후보 및 신약 후보물질의 탐색과 연구개발을 지속 수행 중.

비만치료제의 대장주는 펩트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주가 흐름도 나쁘지않고요. 당뇨 비만치료제 개발중으로 임상 진행 중으로 기대감을 갖고 있습니다.

큐라티스

>기업개요

  • 동사는 2016년 백신 개발 플랫폼을 보유한 바이오 의약품 연구개발·제조기업으로 설립되고 2023년 코스닥에 상장함.
  • 백신 후보물질 탐색부터 신약 개발 전 과정을 자체 진행하며, 생산 기술과 유통망도 확보함.
  • 결핵 백신 QTP101, 주혈흡충증 백신 QTP105, mRNA 코로나19 백신 QTP104를 개발 중이고, 청주시에 생산시설과 연구소를 통해 CMO·CDMO 서비스 제공.

큐라티스는 비만치료제 위고비의 바이오시밀러 공정 완료한 소식으로 위고비와 함께 테마로 엮여서 주목을 받은 종목으로 기업 자체의 실적보다는 비만치료제 관련 대형 뉴스가 나올때마다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가 흐름은 등락이 심한 편으로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무리

국내 비만치료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비만치료라는 인류의 큰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제약사에서 비만치료제 개발에 앞장서서 기술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경구용 치료제를 누가 빨리 개발해서 효과를 입증하는지에 따라 자금이 몰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위 기업 외에 애니젠, 일동제약, 한국비엔씨, 유한양행 등 전통적인 제약사들도 기술 개발을 하고 있어 관련 테마로 묶여 있으니 관심을 갖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제가 알려드린 내용이 투자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참고용으로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