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락일 주가는 왜 떨어질까? 알고보면 간단한 이유

12월 배당의 계절이 왔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보통 일 년에 한번 배당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요.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들에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배당락이라는 말을 많이 보셨을거예요. 하지만 배당락일에 왜 주가가 하락하는지 모르겠다면 이 글을 통해 개념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배당락일 용어 파헤치기

먼저 한자어를 풀어서 살펴보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배(配)”: 나눠주다, 분배하다.

“당(當)”: 받을 몫.

즉, “회사가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눠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락(落):떨어질 “락(落)”.

배당락일은 쉽게 말해 배당을 받을 수 없는 날을 의미합니다.

배당을 받으려면 언제 사야하나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1년 동안 기업의 주식을 갖고 있어야 할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그러면 주식을 언제까지 보유하면 배당을 받을 수 있을까?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주주명부에 이름이 올라야 합니다. 우리는 주식을 매수하면 바로 증권 명부에 올라가는 게 아니라 2일이 지나야 합니다. 따라서 2일 전에는 해당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2024년 국내 증시 일정을 통해 알려드릴게요.

국내 주식시장 마지막 개장일은 12월 30일로 이날 배당한다고 가정하면 공휴일 제외 영업거래일 기준으로 2일이 필요하게 되니 26일에는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회사마다 배당 관련 일정은 다를 수 있으니, 전자공시에서 해당 기업의 공시 정보를 통해 배당 일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배당락일에 주가 하락 이유

그러면 왜 배당락일에는 주가가 하락할까요? 사실 이유는 간단합니다. 해당 기업에서 배당하면 그만큼 자본이 빠져나갔다는 것을 의미하죠. 현금배당의 경우는 기업의 보유 금액을 재투자하는 게 아니라 배당으로 금액을 써버린 것이니 회사 가치가 떨어졌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이 5% 현금배당을 하면 기업가치도 5% 하락한다는 의미로 주가가 하락하는 겁니다.

배당락일을 활용한 투자 방법과 주의할 점

배당일을 알았으니 그러면 12월 26일에 매수해서 배당을 받고 27일에 매도하는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이 좋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배당락일에 얼마나 주가가 빠질지 모른다는 게 가장 큰 문제이죠. 배당금보다 많이 빠진 상태로 매도한다면 오히려 손해가 될 테니 배당을 받을 아닐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배당을 많이 받으시는 분들은 금융소득종합과세도 고려해봐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하게 생각할 부분은 배당을 주는 기업이 얼마나 괜찮은 기업인지를 고민해봐야합니다. 좋은 기업이라면 배당락 이후에도 금방 기존 주가를 회복합니다. 단순히 배당을 받아서 수익이 났다라고 생각하면 안되는 이유입니다.

IBK기업은행에서 2024년 기업 배당 일정 정리한 파일 링크를 참고하셔서 투자에 도움이 되시길바랍니다.

“투자 권유 포스팅아닙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의 손모가 다렸습니다.”